안녕하세요. 국제적으로 한국어가 K-POP과 K-Contents로 인해서 주목 받고 있는 시대로 생각됩니다. 예전에 비해서 점점 더 많은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우기 희망하고 한국에 방문하고 한국 문화를 체험해 보고 있는 것에 대해서 누구나 부정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런 한국과 한국어에 대해서 과연 우리가 얼마나 관심과 애정을 갖고 생활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었고 우리 말에 대해서 더욱 심취하고 이해하고 알아가는 과정도 인생에서 꼭 필요하고 매우 가치있는 일이라고 생각되었습니다. 심지어 각 지방의 사투리도 우리의 소중한 자신일 것이라고 생각되었고 느끼고, 생각하고, 학습하고, 알게되면 정리를 해두어야겠다는 생각이 강해지게 되었습니다. 한글을 더 많이 그리고 더 정확하게 알게 되면 더 재미있고 유쾌하게 한국어를 사용하게 될 것입니다.
한국어의 시작은?
한국어는 누가 언제부터 사용하기 시작했을까요? 우리가 사용하는 글자인 한글은 세종대왕께서 배포하신 훈민정음이 있기에 그 출처와 탄생을 잘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사용하는 이 한국어라는 말은 언제 어디서부터가 근원이었는지 궁금하게 됩니다.
한국어의 최초 기원에 대한 명확한 기록은 없습니다. 그렇지만 인간의 삶과 특징으로 한국어의 기원을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인류는 같이 모여 살고 같이 모여 살기 위해서는 협동을 해야 합니다. 사자와 같은 동물도 여러 사자들이 협동하여 사냥을 할 수도 있지만 인간은 언어를 통해서 더욱 정확하고 계획적인 협동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인간이 언제부터 언어를 사용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수 천년 아니 수 만년 전부터 1명 이상이 모여서 살기 시작하면서부터 언어를 사용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인류가 발전하면 발전할수록 더 많은 사람들이 모여살고 더 많은 의사소통을 진행했음이 분명합니다. 학자들이 한국어는 알타이계 언어로 분류합니다. 이는 몽골어, 튀르크어, 롱구스어 계열과 어휘나 문법에서 유사한 특징이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주어-목적어-동사 순서의 어순인 부분과 조사를 사용하는 방식의 언어라는 점이 그 증거가 충분히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현대에서는 알타이어족이라는 개념이 점점 희미해지고 있지만 북방 유목민족들과의 접촉이 언어 형성에 매우 지대한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은 여전히 고려되고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한국어는 아주 오래 전에 여러 민족들 사이에서 탄생한 언어 중 하나일 것입니다.
누구나 알고 있듯이 한국의 최초 국가는 고조선이라고 합니다. 본래는 조선이었는데 이성계가 세운 조선과 이름이 같아서 예전의 조선은 고조선이라고 명칭하고 이후의 조선은 조선이라고 명칭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한국은 고조선을 시작으로 매우 밀접하게 형성되고 그 세력과 문화를 확장했을 것입니다. 아마도 그 당시에 지금에 사용하는 한국어의 기틀이 많이 형성되었다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후에 고구려, 백제, 신라로 구성된 삼국 시대에는 장기간 서로 왕래를 하지 않고 전쟁을 하였기 때문에 사투리가 더욱 뚜렸하게 형성되었을 것입니다. 요즘 같이 통신이 발전한 시대에도 사투리를 사용하는데 예전에 포장된 도로도 없고 전화도 없던 시대에는 그야말로 사투리 천국이었을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아마도 북쪽의 고구려 사람이 남쪽의 신라 사람을 만나면 대화가 잘 통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서양의 이탈리아도 고대 로마로부터 이어져 내려왔지만 1,000년 이상 각자 도시 국가로 이어져 오면서 서로 사투리(=해당 도시국가의 언어)를 사용하여 의사 소통을 하게되면 외국어처럼 서로 의사 소통이 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주 들어 보았습니다. 이처럼 예전에 한반도에서도 삼국시대에는 비교적 다른 언어가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신라가 3국 통일을 하고 한 개의 나라가 중앙집권을 진행하면서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한국어의 기틀을 더욱 확고하게 만들었다고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유추를 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이 시대에는 중국의 한자를 사용했기 때문에 우리가 사용하는 발음이나 언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기 때문입니다.
- 창제자 : 세종대왕(세종25년) / 조선 제4대 왕
- 창제 연도 : 1443년 (공표는 1446년)
- 창제 목적 : “백성들이 쉽게 배우고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 특징 : 세계적으로 보기 드믈게 누가/언제/왜 만들었는지 정확하게 밝혀진 문자임
- 구성 : 초성 17자, 중성 11자 등 총 28자로 구성 – (현재는 초성 14자, 중성 10자 등 총 24자)
- 문자 이름 : 창제 당시에는 ‘훈민정음(訓民正音)’ 이라고 불렀고, 이후에는 ‘한글’ 이라고 불리게됨
- 유명한 구절 : “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와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 해도 제 뜻을 능히 피지 못하는 이가 많으니라. 내 이를 불쌍히 여겨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드노니, 사람마다 쉽게 익혀 날마다 씀에 편안케 하고자 함이니라.”
이런 말이 있습니다. “슬기로운 사람은 아침나절이 지나기 전에 익힐 수 있고, 어리석은 사람도 열흘이면 배울 수 있다” 이 문장은 훈민정음 햬례본의 서문에 기록되어 있는 내용으로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얼마나 쉽고 과학적으로 만들었는지를 직접 표현한 구절입니다. 그래서 지금 현대의 시대에도 외국인들이 한글을 처음 공부하게 될 때 하루만 공부해도 읽을 수 있는 문자라고 합니다. 하루라는 시간이 길면 길고 짧으면 짧을 수도 있겠지만 이 말은 그 만큼 한글이 쉽게 구성되어 있다는 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