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를 같이 공부해 봅시다. 쉬운 것부터 공부하면 모국어 다음으로 많이 사용하는 영어이기 때문에 누구나 말하면서 사용할 수 언어입니다. 그렇게 오랬동안 접하고 공부를 하였지만 말할 기회도 없고 사용할 기회가 없다고만 생각하셨나요? 조금만 다르게 생각하면 영어로 읽을 수 있는 글들과 소통은 모국어만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이 있습니다. 새로운 모험과 경험을 축적하기에는 영어가 가장 좋을 것입니다.
우리에게 영어란 무엇인가?
“영어는 우리 삶에서 필수다.” 라는 말에 동의 하시나요? 아니면 필수는 아니어도 알 건 알아야 한다고 생각을 하실 겁니다. 영어는 학교 다닐 때부터 줄곳 배우고 시험도 많이 봅니다. 학창 시절 때에는 영어를 잘 하는 사람과 못하는 사람은 수학능력 시험의 점수도 달라지기 때문에 대학 진학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그렇게 해서 직장에 들어갔는데 행여 출장을 가거나 영어 이메일을 작성해야 할 때가 있었던 경험이 있었나요? 그럴 때면 매우 당황스럽고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 할지를 모르는 상황이 되어버립니다. 결국, 영어를 잘 하는 사람에게 부탁을 하게 되었었는데, 요즘에는 번역기가 있어서 그나마 다행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영어란 애들도 하는 것이고, 영어는 언어일 뿐이다.” 라고 생각합니다. 저에게 영어는 그 이상도 아니고 그 이하도 아닙니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입시 때는 우리의 인생을 좌지우지 하는 수단이었을지도 모르지만 지금 학교를 졸업한 시점에서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오히려 영어에 대한 두려움을 이기고 조금씩 사용하고 쓰다 보면 어느 정도는 말하고 쓰고 작성할 수도 있다는 것이 영어이고 언어라고 생각됩니다. 사람들은 완벽한 문장과 발음을 구사해야 한다고 대부분 생각할 것입니다. 하지만 저는 영어를 잘하는 편이 아닙니다. 그리고 저는 발음도 완전히 콩글리쉬(Korean + English = Konglish)입니다.
제가 영어에 대해서 관심을 갖게된 것은 다름 아닌 해외 출장 때였습니다. 우리 회사에서는 제가 영어를 유창하게 잘하지 못하는 사람인 것을 알지만 상황이 어쩔 수 없어서 출장에 임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중국 동료를 만났습니다. 저는 중국말을 전혀 모르고, 중국 동료는 한국어를 전혀 모릅니다. 우리 둘은 당시에 영어만 서로 알고 있는 상황이었으나 저는 영어를 평소에 공부하지도 않았고 어떻게 말해야 할지 모르는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모든 걱정과 우려는 생각할 겨를도 없게 되었습니다. 어쨌든 언어를 조금이라도 소통해서 업무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영어로 소통을 해야 했습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인사말 외에는 손짓과 발짓이 주로 대부분이었지만 곧 이어 간단한 것들을 소통하기 시작했습니다. 아무리 우리나라 교육이 주입식 교육이라고 하여도 학창 시절 때 암기했었던 명사와 동사들을 머리에 떠올렸습니다. 물론, 처음에는 가자(Go), 먹자(Eat), 어디?(Where?) 등 이런 수준 이었지만 점점 더 생각하고 말을 하다 보니 단어 한 개가 두 개로 변해서 소통하게 되었고 단어 세 개가 되고 네 개가 되었습니다. 단어 세 개로 문장이 구성되면 아주 간단한 문장이지만 단어 한 개 보다는 훨씬 더 좋은 문장이 되는 것이고 그 이상의 단어로 구성된 문장은 우리 둘에게는 빛나는 문장이었습니다. 물론, 저 보다 중국 동료는 영어를 월등히 잘 하는 사람이었기 때문에 이 모든 것들이 가능했을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해당 출장을 잘 마무리 하였고, 이후에도 자신감이 붙어서 몇 번 더 출장을 혼자서 가게 되었고, 그 친구와 계속해서 영어로 소통하는 것이 어색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물론, 문법이 맞는지 안 맞는지는 크게 신경 쓰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말하면 말할수록 제 목소리는 더욱 커지고 그러다 보니 의사 전달력은 갈수록 더욱더 명확해 지는 것을 느꼈었습니다.
그럼, 앞으로 영어를 더욱 잘하게 되었는가?
아닙니다. 단언코 아닙니다. 그렇게 출장으로 의사소통 몇 일 동안 하였다고 해서 영어를 잘 하게 되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 영화를 자막 없이 틀어 놓고 보면 거의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그것도 당연한 것이 미국 영화에서 미국인들이 발음하는 것은 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연음 위주로 대화를 하기 때문에 속도와 발음을 듣기란 정말 어려운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저에게 있어서 영어는 미국 영화를 자막 없이 보려고 하는 것이 목적이 아닙니다. 저는 동시 통역사도 아니고 미국 영화를 자막 없이 본다고 해서 성취감은 있을지 모르지만 저에게 특별히 좋아지는 것은 없습니다. 영어는 제가 필요한 만큼 사용하고 이용하면 되는 것입니다. 제가 출장에 가서 소통을 하고, 제가 이메일을 영어로 주고 받으면 되는 것이라고 당시에 생각했었습니다. 그래서 영어는 저에게 전혀 부담스럽지도 않고 단순히 중국 국 동료와 소통하는 재밌는 도구라고 생각했습니다.
아마도 저는 80살까지 영어 공부를 혼자서 열심히 하여도 미국 영화 한 편을 자막 없이 불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 아무튼, 저는 영어 공부를 이후에 열심히 수행한 것은 아니지만 제 일상 생활에 끊임 없이 녹아들게 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스마트폰 언어를 영어로 변경해 보기도 하고 SNS의 경우 영어권 유명 인사 것들만 찾아 보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단어도 어렵고 외울 단어도 많아서 단어장 만들어서 저장을 해놓으면 외운 단어는 거의 없고 단어장에 저장된 단어들만 증가하는 꼴이 되기도 했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 중에서 중요한 사실 몇 가지를 느끼게 되었습니다. 잘하든 못하든 학습하는 것에 큰 의미를 부여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학습을 오랜 기간 동안 하지 않게되면 그나마 가지고 있었던 실력이 줄어듭니다. 하지만 학습을 지속적으로 조금이나마 계속적으로 수행한다면 조금씩 발전도 되고 습관이 만들어집니다. 그것에 큰 매력을 느낀 저는 영어를 잘 하지는 못하지만 영어 관련된 글을 써서 사람들에게 공유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이 결심도 아주 예전부터 생겼었지만 그 동안 하지 못하고 늦장 부리다가 지금에서야 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무슨 큰 비법을 이곳에 작성하려는 것이 아니고 저는 그럼 비법을 알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비교적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이 되고 제가 업로드한 영어 관련된 글들이 소수 사람들에게라도 도움이 된다면 저에게 아주 큰 보람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도 되었고 도움된 사람들에게도 큰 보람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