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파일 확장자를 이해하면 이미지 작업이 쉬워집니다. 우리가 사진을 저장하거나 공유할 때 흔히 JPG, PNG와 같은 확장자를 접하고 사용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확장자들은 단순한 이름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저장 방식, 화질, 용량, 호환성 등에서 큰 차이를 나타냅니다.
이 글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사진 파일 확장자들을 비교표로 정리하고 각 확장자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고 왜 만들어졌는지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지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합니다. 이 글의 정보들을 통해서 웹디자인, 사진 편집, 블로그, 인쇄 작업 등에서 올바르고 적합한 이미지 포맷을 선택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역사 : 1992년, ISO(국제표준화기구)와 IEC(국제전기표준회의) 산하의 JPEG 위원회에서 공동으로 개발하였으며, 사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압축하여 저장하기 위한 목적에서 시작됨
특징 :
압축 방식 : 손실 압축
장점 : 높은 호환성, 빠른 로딩, 용량 효율
단점 : 반복 저장 시 화질 저하
파일 용량 : 낮음
사용되는 곳 : 일반 사진, 웹 콘텐츠, 디지털 카메라, SNS
PNG
PNG(Portable Network Graphics)
역사 : 1996년, GIF의 특허 문제를 피하고 더 나은 이미지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W3C와 여러 개발자들이 공동으로 개발됨
특징 :
압축 방식 : 비손실 압축
장점 : 배경 투명 지원, 선명한 품질
단점 : 용량이 JPG보다 큼
파일 용량 : 중간
사용되는 곳 : 로고, 아이콘, 웹 UI, 배경 투명 이미지 등
GIF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역사 : 1987년, CompuServe(컴퓨터 통신 서비스 회사)에서 저속 네트워크에서도 애니메이션과 그래픽을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개발됨
특징 :
압축 방식 : 비손실, 색상 제한 (256색)
장점 : 애니메이션 지원, 간단한 이미지 표현
단점 : 색상 표현이 제한적
파일 용량 : 낮음
사용되는 곳 : 짧은 애니메이션, 이모티콘, 반응형 이미지
TIFF / TIF
TIFF(Tagged Image File Format)
역사 : 1986년, Aldus Corporation(후에 Adobe에 인수됨)에서 고해상도 이미지와 인쇄 산업을 위한 표준 포맷으로 개발됨
특징 :
압축 방식 : 무압축 또는 비손실
장점 : 화질 손실 없이 미이지 저장 가능
단점 : 용량이 큼, 웹 호환성 낮음
파일 용량 : 높음
사용되는 곳 : 인쇄, 스캔, 출판용 이미지, 아카이브 등
BMP
BMP(Bitmap Image File)
역사 : 1980년대 후반, Microsoft에서 Windows 운영체제에서 이미지 처리를 위해 개발한 포맷
특징 :
압축 방식 : 무압축 (일부는 간단한 압축 지원)
장점 : 압축 손실 없음, 픽셀 정보 그대로 저장
단점 : 용량이 매우 큼
파일 용량 : 매우 높음
사용되는 곳 : 시스템 이미지, 기술적 분석, 구형 소프트웨어
HEIC
HEIC(High Efficiency Image Coding)
역사 : 2017년, Apple이 iOS 11부터 사진 저장 기본 포맷으로 채택함. MPEG에서 개발한 HEIF(High Efficiency Image Format)의 이미지 부분을 기반으로함
특징 :
압축 방식 : 고효율 손실 압축
장점 : JPG보다 절반의 용량으로 더 나은 화질
단점 : 호환성이 낮아 변환 필요할 수 있음
파일 용량 : 낮음
사용되는 곳 : iPhone, iPad, macOS의 기본 이미지 포맷
WEBP
WebP(어떤 약자인지 공개되지 않았지만 Web Picture 라고 사용되는 경우 있음)
역사 : 2010년, Google에서 웹사이트 속도 개선과 이미지 품질 유지의 균형을 목표로 개발됨
특징 :
압축 방식 : 손실 및 비손실 모두 지원
장점 : 투명 배경, 애니메이션, 높은 압축 효율
단점 : 일부 구형 브라우저 미지원
파일 용량 : 매우 낮음
사용되는 곳 : 웹사이트 이미지 최적화, 웹 배터, 썸네일 등
RAW
RAW(‘가공되지 않은’이라는 의미이며, 특정 약자의 조합은 아니며, 제조사마다 확장자(.CR2, .NEF 등)는 다름)
역사: 디지털 카메라 보급이 확산되던 2000년대 초, 각 제조사들이 고품질 보정을 위한 포맷으로 개발함.
특징 :
압축 방식 : 무압축 또는 비손실
장점 : 색상 및 노출 조정에 강력한 후처리 가능
단점 : 전용 프로그램 필요, 큰 용량
파일 용량 : 매우 높음
사용되는 곳 : DSLR, 미러리스 카메라 촬영 파일 및 보정작업 등
PSD
PSD(Photoshop Document)
역사 : 1990년, Adobe Photoshop의 첫 버전과 함께 도입되어, 사진 편집과 그래픽 디자인을 위한 전용 포맷으로 자리잡음
특징 :
압축 방식 : 비손실
장점 : 레이어, 마스크, 필터 등의 편집 정보 보존
단점 : 파일 용량 큼, 특정 프로그램에서만 열림
파일 용량 : 높음
사용되는 곳 : 디자인 프로젝트, 포스터 제작, 세부 편집용 파일 등
마치며
우리가 이미지를 사용하거나 어떤 파일 포맷을 선택할지 고민이 될 때가 있습니다. 사진 파일의 포맷은 단순하게 저장 방식의 차이가 아닌 작업 목적에 따른 전략적인 선택입니다. 예를 들어 고화질 인쇄용 이미지에는 TIFF가 적합하고, 웹사이트에 빠르게 로드될 이미지들에는 WEBP가 적합하고 유리합니다. 또한 후반 작업을 고려한다면 WAW 또는 PSD와 같은 포맷을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사진의 품질과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자신이 어떤 작업을 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플랫폼에서 이미지를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이해가 중요할 것입니다. 이 글의 설명과 비교를 참고하여 목적에 맞는 최적의 파일 포맷을 선택해 보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그리고 앞으로 미래에도 다양한 이미지 포맷과 기술들이 등장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 글에서 정리한 파일 확장자들은 앞으로도 오랜 기간 동안 널리 사용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이것들을 잘 알고 활용한다면 작업의 퀄리티도 한층 높아질 것입니다.